2023 山 - 길 151

2023 – 44 상족암둘레길 03

공룡화석지해변길 공룡화석지해변길은 덕명항에서 시작하여 맥전포항까지 이어지는 약3.5km의 길이다. 공룡화석지해변길을 걷다보면 상족암군립공원일대를 지나가게 되는데 물이 빠지는 썰물때가 되면 백악기시대의 공룡들이 걸어다닌 흔적들이 드러난다. 경남 고성군은 군 전역에 걸쳐 약 5,000개의 공룡발자국 화석이 발견돼 미국 콜로라도와 아르헨티나 서부 해안과 함께 세계3대 공룡발자국 산지로 알려져 있다. 상족암군립공원의 “고성 덕명리 공룡과 새발자국화석산지”는 1999년에 천연기념물 제411호로 지정되었다.

2023 山 - 길 2023.12.04

2023 – 44 상족암둘레길 02

상족암군립공원(床足岩郡立公園) 1983년 11월 10일에 군립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면적은 5,106㎢에 이른다. 지형적으로 해식애(海蝕崖)에 해당한다. 파도에 깎인 해안지형이 육지쪽으로 들어가면서 해식애가 형성되었으며, 그 앞에 평탄하게 있는 암반층은 파식대이다. 상족암 앞의 파식대에는 공룡 발자국이 선명하게 찍혀 있다. 해식애 암벽은 시루떡처럼 겹겹이 층을 이루는 수성암(水成岩)인데, 모습이 밥상다리처럼 생겼다고 하여 상족(床足)이라고도 하고 쌍족(雙足)이라고도 부른다. 암벽 깊숙이 굴이 뚫려 있으며, 굴 안은 파도에 깎여서 생긴 미로 때문에 변화무쌍하다. 상족암 바닷가에는 너비 24㎝, 길이 32㎝의 1982년에 발견된 공룡 발자국은 1999년 천연기념물 제411호로 지정되었다.

2023 山 - 길 2023.12.04

2023 – 44 상족암둘레길 01

□ 2023 – 44 상족암둘레길 (경남 고성군) ♣ 中生代 白堊紀 공룡들의 흔적과 함께한 床足岩둘레길! ☞ 때 : 12. 03 (일) (대체로 맑은 날) ⇒ 투투힐링투어 ☞ 흔 적 : 덕명주차장 ⇒공룡박물관입구⇒상족암⇒데크로드⇒청소년수련원⇒오토캠핑장 ⇒입암마을 ⇒병풍바위전망대(back) ⇒청소년수련원 ⇒출렁다리 ⇒공룡박물관 ⇒주차장 ☞ 시 간 : 10:09 ~ 13:36 (03시간 27분) ☞ 거 리 : 약 7.0km 〓 〓 〓 〓 〓 〓 〓 〓 〓 〓 〓 〓 〓 〓 〓 네 번째 찾은 상족암군립공원 이번에는 상족암에서 많은 시간을 보냈다. 〓 〓 〓 〓 〓 〓 〓 〓 〓 〓 〓 〓 〓 〓 〓 상족암(床足岩) 일명 '쌍발이'라고도 불리는데, 수만 권의 책을 켜켜이 쌓은 듯한 수성암 절벽이 우뚝 솟아 있어..

2023 山 - 길 2023.12.04

2023 – 43 옥정호붕어섬둘레길 04

요산공원 요산공원은 2009년부터 2017년까지 9년간 추진된 붕어섬 주변 생태공원 조성사업의 일환으로 만들어졌으며, 임진왜란 때 3등 공신 성균관 진사였던 최응숙 선생이 낙향해 400여 년 전에 지은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제137호 양요정과 섬진강댐 수몰민들의 슬픔을 달래고자 세운 망향탑이 세워져 있다. 특히 2만7천392㎡의 넓은 대지 위에 갓꽃, 튤립, 수선화, 팬지 등 아름다운 꽃들이 형형색색 빼곡히 수놓아져 있다. 붕어섬생태공원 오봉산 주차장으로 간다. 전망대에서 바라본 풍경 요산공원 방향 국사봉 방향 요산공원

2023 山 - 길 2023.11.20

2023 – 43 옥정호붕어섬둘레길 03

붕어섬 붕어섬의 원래 이름은 ‘외앗날’로 ‘외앗’은 「자두」의 옛말인 ‘오얏’이 ‘외앗’으로 발음되어 만들어진 전라도 방언이고 ‘날’은 산등성이를 가리키는 말이다. 붕어섬 면적은 홍수위 기준 73,039㎡이고, 2017년까지 사람이 살고 있었으나 현재는 사람이 살지 않고 있다. 그 후 2018년부터 임실군이 매입 후 2018년부터 경관 조성을 통해 오색 꽃들의 향연을 만끽할 수 있는 아름다운 장소가 되었다. 붕어섬에서 돌아본 출렁다리 붕어섬 생태공원 탐방을 한다. 붕어섬 카페 붕어섬생태공원

2023 山 - 길 2023.11.20

2023 – 43 옥정호붕어섬둘레길 02

옥정호 출렁다리 옥정호 출렁다리는 예산 110억원을 들여 2020년부터 공사를 시작해 2022년 11월 개통했다. 요산공원에서 붕어섬까지 이어주는 출렁다리는 붕어를 형상화한 83.5m 높이의 주탑이 있는 현수교로 총길이 420m, 순폭 1.5m이다. 스테인리스 매쉬형 난간 그리고 스틸그레이팅 바닥판은 시원한 바람과 짜릿함을 경험할 수 있다. 옥정호출렁다리 빠른길 데크로드는 공사 중 공연장에서 단체 기념 촬영 매표소 엊그제 내린 눈의 잔설 출렁다리를 건넌다.

2023 山 - 길 2023.11.20

2023 – 43 옥정호붕어섬둘레길 01

□ 2023 – 43 옥정호붕어섬둘레길 (전북 임실군) ♣ 慶南支部와 함께한 옥정호출렁다리 & 붕어섬생태공원둘레길! ☞ 때 : 11. 19 (일) (대체로 맑은 날) ⇒ 한국산악회전북지부 ☞ 흔 적 : 주차장 ⇒물안개길 ⇒붕어섬매표소 ⇒붕어섬출렁다리 ⇒붕어섬생태공원(back)⇒매표소 ☞ 시 간 : 09:20 ~ 12:31 (03시간 11분) ☞ 거 리 : 약 4.0km 〓 〓 〓 〓 〓 〓 〓 〓 〓 〓 〓 〓 〓 〓 〓 시간에 쫓겨 반쪽이 돼버린 붕어섬 생태공원 둘레길 〓 〓 〓 〓 〓 〓 〓 〓 〓 〓 〓 〓 〓 〓 〓 옥정호(玉井湖) 옥정호의 명칭은 섬진강댐의 위쪽에 강진면 옥정리란 마을의 지명에서 따온 이름으로 실제 마을 안에 '옥정' 이란 샘이 있었으며, 지금은 도로 확포장공사로 인하여 메워져 ..

2023 山 - 길 2023.11.20

2023 – 42 반구대암각화둘레길

□ 2023 – 42 반구대암각화둘레길 (울산 울주군) ♣ 보존대책이 지금도 論意 중인 국보제285호 반구대암각화 둘레길! ☞ 때 : 10. 22 (일) (화창한 가을 날) ⇒ 한국산악회전북지부 ☞ 흔 적 : 주차장 ⇒반구대갤러리 ⇒집청정 ⇒징검다리 ⇒정자(back)⇒반구서원 ⇒연로개수기 ⇒오곡교 ⇒공룡발자국화석 ⇒반국대암각화전망대(back) ⇒암각화박물관 ⇒주차장 ☞ 시 간 : 13:10 ~ 14:24 (01시간 14분) ☞ 거 리 : 약 2.9km 〓 〓 〓 〓 〓 〓 〓 〓 〓 〓 〓 〓 〓 〓 〓 2013.06.02 찾았을 때는 반구대암각화 지역의 명승지지정 반대로 국정갈등 제1과제로 시끄러웁기도 했는데 ~~ 10여년이 흐른 지금도 그때와 특별히 변한 것이 없는 것 같다. 〓 〓 〓 〓 〓 〓 〓..

2023 山 - 길 2023.10.25

2023 - 41 청남대둘레길 01

□ 2023 – 41 청남대둘레길 (충북 청주시) ♣ 8년 만에 다시 찾은 대통령 전용 별장 였던 청남대(靑南臺)! ☞ 때 : 10. 15 (일) (화창한 가을 날) ⇒ 투투힐링투어 ☞ 흔 적 : 주차장 ⇒대통령기념관(별관) ⇒본관 ⇒오각정 ⇒봉황탑(back) ⇒오각정길 ⇒대통령기념관 ⇒헬기장 ⇒청남대휴게소(점심) ⇒어울림마당 ⇒호수광장 ⇒그늘집 ⇒행운의샘 ⇒초가정((back) ⇒주차장 ☞ 시 간 : 10:37 ~ 13:51 (03시간 14분) ☞ 거 리 : 약 5.6km 〓 〓 〓 〓 〓 〓 〓 〓 〓 〓 〓 〓 〓 〓 〓 8년만에 다시 청남대를 찾았다. 해서인지 대강대강 대충대충 본다. 허나 봉황탑을 오른 것은 하나의 수확이었다. 〓 〓 〓 〓 〓 〓 〓 〓 〓 〓 〓 〓 〓 〓 〓 청남대(靑南臺) ..

2023 山 - 길 2023.10.19

2023 – 40 뜸봉샘생태길

□ 2023 – 40 뜸봉샘생태길 (전북 장수군) ♣ 雨天으로 실내행사가 되어버린 “장애인과 숲에서 하루”! ☞ 때 : 09. 16 (토) (하루종일 비내린 날) ⇒ 한국산악회전북지부 ☞ 흔 적 : 종합경기장주차장 ⇒전주장애인종합복지관 ⇒장안리(점심식사) ⇒뜸봉샘생태공원 ⇒뜸봉샘방문자센터 ⇒전주장애인종합복지관 ⇒종합경기장주차장 〓 〓 〓 〓 〓 〓 〓 〓 〓 〓 〓 〓 〓 〓 〓 어렵사리 成事시킨 오늘 行事인데 아침부터 비가 오락가락 하더니 8시경부터는 무지무지 퍼 붓는다. 다행이 1명을 제외하고 모두 참여하여 감사를 드린다. 하루종일 내리는 비속에서 실외행사는 취소하고 실내행사로 즐겁게 보냈다. 〓 〓 〓 〓 〓 〓 〓 〓 〓 〓 〓 〓 〓 〓 〓 뜬봉샘생태공원 뜬봉샘 생태공원은 금강의 시작 발원지에 ..

2023 山 - 길 2023.09.17

2023 – 39 모악산 02

모악산하종교(母岳山下宗敎) 대부분의 종파들이 증산사상과 깊은 관련을 맺고 있다. 모악산하의 독특한 종교적 분위기는 10여 세기 동안 내려온 미륵신앙과 강증산(姜甑山)의 후천개벽사상이 결합되어 나타난 것으로 볼 수 있다. 증산이 1909년 6월 24일 39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나자 제자들은 단일교단을 형성하지 못하고 주변 지역에서 각 종파로 분립하게 되었다. 최초로 교단을 세운 이는 보천교(普天敎)를 세운 차경석(車京石)이다. 안내성(安乃成)은 증산대도회(甑山大道會)를 일으켰으며, 박공우(朴公又)는 태을교를 세웠다. 이치복(李致輻)은 제화교(濟化敎)를 만들었고 강순임(姜舜任)은 선불교를 세웠고 여처자(余處子)는 선도교(仙道敎)를 세웠으며 서백일(徐白一)은 용화교(龍華敎)를 세웠다. 또 증산의 수제자 중 하..

2023 山 - 길 2023.09.13

2023 – 39 모악산 01

□ 2023 – 39 모악산 (전북 완주군) ♣ 白露지난 가을의 문턱에서 오랫만에 찾은 모악산(母岳山)! ☞ 때 : 09. 12 (화) (화창한 가을 날) ⇒ 청산회 ☞ 흔 적 : 주차장 ⇒모악산詩碑 ⇒선녀폭포 ⇒김씨시조묘갈림길 ⇒천일암갈림길 ⇒쉼터 ⇒상학능선 ⇒데크쉼터 ⇒정자쉼터 ⇒송학사갈림길 ⇒데크로드 ⇒모악산詩碑 ⇒주차장 ☞ 시 간 : 08:40 ~ 11:29 (02시간 49분) ☞ 거 리 : 약 4.6km 〓 〓 〓 〓 〓 〓 〓 〓 〓 〓 〓 〓 〓 〓 〓 전체 회원이 60여명인데 겨우 9명이 모였다. 허긴 나도 4개월 만에 참여를 했으니 ~~~ 그래도 무지 즐거운 날이었다. 〓 〓 〓 〓 〓 〓 〓 〓 〓 〓 〓 〓 〓 〓 〓 모악산(母岳山) 높이 795.2m이다. 노령산맥의 말단부에 솟아 있..

2023 山 - 길 2023.09.13

2023 – 38 가우도함께海길 03

가우도복합낚시공원 가우도 복합낚시 공원은 1천682㎡규모로 150여명이 동시에 낚시를 즐길 수 있으며 곳곳에 벤치는 물론 구명튜브를 설치해 이용객들의 편의와 안정성을 갖춘 복합낚시공원이다. 수중에 테트라, 해중림 등 인공어초 300여개를 심어 어종의 서식환경을 개선하면서 어종의 다양성은 물론 출현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1일 이용료는 성인 1만원, 소인 5천원이며 반드시 구명동의를 입어야한다. 낚시 초보자를 위한 낚시지도와 낚시장비 대여, 미끼 판매 등으로 낚시 관광객의 편익을 제공하고 있다. 가우마을 표시석과 황가오리 조형물 "망호출렁다리"였는데 지금은 "다산다리"로 변경됐다. 다산다리 망호주차장 망호관광안내소 저두로 간다. 낚ㅅ꾼들에게 요즘 최고 인기라는 가우도복합낚시공원 가우도치안센터 돌아본 복합낚..

2023 山 - 길 2023.09.04

2023 – 38 가우도함께海길 02

가우도 출렁다리 - 출렁다리 연장 : 150m - 데 크 연 장 : 110m - 폭 원 : 1.8m - 통 행 하 중 : 350kn/㎡ - 준 공 일 : 2021년 6월 가우도출렁다리 가우도출렁다리를 건넌다. 강진읍방향 돌아본 출렁다리 데크스카이워크 돌아본 데크스카이워크 2017.04.28 종주하면서 개고생 하였던 무지무지 힘든 덕룡산 당겨본 덕룡산 돌아본 쉼터 옛 "망호출렁다리" 지금은 다산다리 당겨본 다산다리 다산 정약용 쉼터 꽃말이 "섹시한 여인 & 떠나간이를 그리워 함"이라는 가우라꽃 가우마을

2023 山 - 길 2023.09.04

2023 – 38 가우도함께海길 01

□ 2023 – 38 가우도함께海길 (전남 강진군) ♣ 불볕더위 여름의 끝자락에 다시 찾은 가우도함께海길! ☞ 때 : 09. 03 (일) (비예보는 있었으나 트레킹시에는 아주 맑고 더운 날) ⇒ 투투힐링투어 ☞ 흔 적 : 저두주차장 ⇒물고기조형물 ⇒청자다리 ⇒삼거리 ⇒수국둘레길 ⇒청자타워갈림길 ⇒가우도출렁다리 ⇒데크스카이워크 ⇒정약용쉼터 ⇒다산다리 ⇒망호주차장(back) ⇒삼거리 ⇒영랑나루쉼터 ⇒두꺼비바위 ⇒모노레일승강장 ⇒청자다리 ⇒저두주차장 ☞ 시 간 : 10:01 ~ 13:25 (03시간 24분) ☞ 거 리 : 약 8.0km 〓 〓 〓 〓 〓 〓 〓 〓 〓 〓 〓 〓 〓 〓 〓 일기 예보에는 10mm 정도의 비가 예보되어 우비와 우산까지 챙겨 왔는데 어렵소?? 해가 너무 쨍쨍하고 무덥다. 덕분에 즐..

2023 山 - 길 2023.09.04

2023 – 37 서산대사길 03

지리산 옛길 -이 원 규- 살다 지쳐 자주 팍팍한 날이면 세상사 낡은 외투 훌훌 벗어던지고 화개동천 지리산 옛길로 가자 세이암 맑은 물에 두 귀를 씻고 연초록 산바람에 백태 낀 눈동자를 헹구자 저마다 외로운 구름처럼 한 마리 보리은어의 첫 마음으로 거슬러 오르자 아직 어린 새색시 첩첩 울며 시집오고 의신마을 코흘리개들 가갸거겨 배고픈 쇠점재 저 홀로 버림받은 사람도 아랫도리 후덜덜 화개장터 소금장수도 어금니 꽉 깨물고 넘던 사지넘이고개 날마다 서산대사는 입산출가의 자세로 오가고 비운의 혁명가 화산 선생은 빗점골로 들어가 마침내 죽어서야 돌아왔다 살다 지쳐 자주 침침한 날이면 저잣거리 빛바랜 안경을 벗어던지자 감감바위 아래 그 무거운 봇짐일랑 내려놓고 금낭화 피면 그 옆에 쪼그려 앉아 그냥 금낭화가 되자 ..

2023 山 - 길 2023.08.21

2023 – 37 서산대사길 02

서산대사길(지리산 옛길) 서산대사길은 화개장터에서 쌍계사를 거쳐 의신계곡을 지나 지리산 주능선의 벽소령을 넘어 함양군 마천면으로 넘어 가던 길 중에서 신흥마을에서 의신마을까지 옛길 구간 4.2km를 말한다. 옛 보부상들이 하동, 광양 등 남해안의 해산물을 함양 등 내륙으로 운송하던 길이다. 서산대사길은 서산대사가 지리산에 머무는 동안 다니던 옛길로 지리산옛길이라고도 한다. 신흥사가 있던 신흥마을과 의신사가 있던 의신마을을 연결한 옛길이다. 봇짐·등짐장수들이 광양 등에서 생산된 소금과 해산물을 이고지고 벽소령 넘어 함양 쪽으로 팔러 다니던 길이자 의신마을 주민들이 산에서 구워낸 참숯을 화개장에 팔러 넘나들던 옛길 그대로다. 의자바위 대성게곡 괴물을 닮은 벌통 외딴집 슬슬 배가 고파오는데 간식이 없다. 아직..

2023 山 - 길 2023.08.21

2023 – 37 서산대사길 01

□ 2023 – 37 서산대사길 (경남 하동군) ♣ 높은 濕度와 불볕더위로 무지무지 힘들었던 서산대사길 ! ☞ 때 : 08. 20 (일) (습도 많고 무지무지 더운 날) ⇒ 한국산악회전북지부 ☞ 흔 적 : 푸조나무 ⇒세이암 ⇒서산대사길입구 ⇒서산대사길 ⇒폐가 ⇒의자바위 ⇒정류석 ⇒외딴집 ⇒샘터 ⇒서산대사길날머리 ⇒반달가슴곰생태학습장 ⇒출렁다리 ⇒의신마을 ⇒의신버스정류장 ⇒원통암입구 ⇒당산(선학정) ⇒1023번도로 ⇒의신마을주차장 ☞ 시 간 : 10:01 ~ 13:25 (03시간 24분) ☞ 거 리 : 약 6.1km 〓 〓 〓 〓 〓 〓 〓 〓 〓 〓 〓 〓 〓 〓 〓 2017.08.06일에 한번 거닐었고 화개천을 따라걷는 트레킹이기에 너무 쉽게 생각했나? 높은 습도와 불볕더위가 避暑의 대명사 지리산계곡을..

2023 山 - 길 2023.08.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