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주별산대놀이마당
양주별산대놀이마당이
서민의 애환과 풍자를 그대로 살려
마당놀이 공연에 새로운 숨결을 불어넣고 있다.
중요무형문화재 2호 양주별산대놀이는
양주의 민족전통예술문화인
양주별산대놀이를 계승, 발전시키고 있으며
상설공연, 정기공연으로 전통 공연예술에 힘을 실어주고 있다.
애오개, 사직동 등지의 탈놀음을 본산대,
경기도 양주시에 전승되는 탈놀음을 별산대라고 칭해진다.
약 200여 년 전 양주사람 이을축이
서울 사직골 딱딱이패들에게 배워
양주에 정착시킨 것이라고 전해지는데
이을축은 양주 최초의 가면제작가로도 알려져 있다.
놀이터는 양주 사직골로 사방이 경사져
천연의 노천극장 역할을 하고 있는
불곡산 계곡 입구 가운데에 개복청과 삼현청을 설치하고
모닥불, 기름불로 조명을 밝혔다고 한다.
놀이는 상좌마당, 옴중마당, 먹중마당 등
모두 8마당으로 짜여지며 연희의 내용은
양반에 대한 풍자, 모욕, 서민생활의 애환 등
당시의 현실폭로 및 특권계급에 대한 반항을 담고 있다.
양주별산대놀이(楊州別山臺놀이)
1964년 12월 7일 중요무형문화재 제2호로 지정되었다.
애오개(아현동)·가믄돌(玄石)·사직골 등지의 것을
본산대라고 부르는 데 대하여
경기도 양주시 양주동 일대에 전승되는 탈놀음을 별산대라고 부른다.
양주별산대는 지금으로부터 200여 년 전
양주사람 이을축이 서울 사직골 딱딱이패들에게 배워
양주에 정착시킨 것이라 하며,
그는 양주 최초의 가면제작가라고도 한다.
초파일·단오·추석에 주로 연희되었고,
그 밖에 명절이나 기우제 때도 연출되었다.
놀이 전에 탈고사를 지내는 것이 상례인데
고사에는 조라(산제에 쓰는 술)와 떡과
삼색과일·소머리·돼지다리 등 푸짐한 제물이 준비된다.
제물과 제주를 음복하여 취기가 돌면 앞놀이(길놀이)가 시작되는데,
서낭대와 탈들을 앞세우고 풍물을 울리며 마을을 순회한다.
놀이터는 양주 사직골로,
불곡산 계곡 입구의 사방이 경사진 곳이 천연의 노천극장 구실을 하였고,
한가운데는 개복청과 삼현청이 설치되었으며
그 주위에 잘 바라볼 수 있는 곳에 관객들이 앉게 되고,
조명은 모닥불이나 기름불로 밝히며
밑에서 위로 비추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한다.
놀이는 다른 가면극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음악반주가 따르는 춤이 주가 되며
거기에 묵극적(팬터마임)인 몸짓과 동작 ·사설,
그리고 노래가 곁들여져 가무적인 부분과 연극적인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등장인물은 상좌 2명과 먹중 4명과
완보(完甫)·옴중·소무(小巫)·연잎·눈끔적이·샌님·취발이·
말뚝이·쇠뚝이·왜장녀·애사당·원숭이·포도부장·도령
·해산모·신주부·신할아비·미얄할미·도끼·도끼누이 등이며,
탈은 대개 바가지탈로 현재 22개의 탈이 있어
역할에 따라 겸용하기도 한다.
놀이는 모두 8마당 9거리로 짜여졌으며
제1마당은 상좌마당, 제2마당은 옴중마당, 제3마당은 먹중마당,
제4마당은 연잎·눈끔적이마당, 제5마당은 팔먹중마당, 제6마당은 노장마당,
제7마당은 샌님마당, 제8마당은 신할아비·미얄할미마당이다.
사설(대사)은 봉산탈춤이 비교적 운문적(韻文的)이라면
별산대놀이는 평범한 일상 회화로 비어(卑語)를 쓰며
동작은 하나의 전기적인 역할을 한다.
춤사위는 한국 민속가면극 중 가장 분화·발전된 것으로
몸의 마디마디 속에 멋[神]을 집어넣은 염불장단의 거드름춤과
멋을 풀어내는 타령장단의 깨끼춤으로 구분되어
몸짓 또는 동작이 유연한 형식미를 갖추었다.
반주악기는 삼현육각, 즉 피리·젓대·해금·장구·북 등인데
꽹과리·호적 등을 추가하는 경우도 있으며
반주장단에는 염불·타령·굿거리 등이 있다.
연희의 내용은 산대도감 계통의 공통된 내용으로
남녀의 갈등, 양반에 대한 풍자·모욕, 서민생활의 빈곤상 등
당시의 현실 폭로와 특권계급에 대한 반항정신을 나타내는 것들이다.
오늘날 산대놀이라 하면 이를 가리킬 만큼 대표적인 것이 되었다.
'2015 이전 국내여행 > 2015 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계 최초의 방대하고 웅장한 큰바위얼굴조각공원 02 : 충북 음성군(2015.08.30) (0) | 2015.09.01 |
---|---|
세계 최초의 방대하고 웅장한 큰바위얼굴조각공원 01 : 충북 음성군(2015.08.30) (0) | 2015.09.01 |
양주관아지(楊州官衙址)와 양주향교(楊州鄕校) : 경기 양주시(2015.09.29) (0) | 2015.08.31 |
사통팔달(四通八達)의 아름다운 풍경 장계장날 : 전북 장수군(2015.08.18) (0) | 2015.08.18 |
윤선도가 이상세계를 구현하려 하였던 세연정 02 : 전남 완도군 보길도(2015.08.15) (0) | 2015.08.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