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니S리포트-진정한 G7을 향하여.. 포스트 코로나 질주할 '넥스트-K'⑤]
10년 불황터널 지나 '사상 최대' 운임 딛고 재도약
[편집자주]2020년 국내총생산(GDP) 1조5868억달러, 세계 10위의 경제대국. 글로벌 수출 6위·수입 9위의 무역강국. 글로벌 사회에서 한국을 수식하는 지표다.
불과 70년 전 전쟁으로 폐허가 된 땅에서 한국은 ‘한강의 기적’으로 성장의 기반을 다지고 글로벌 금융위기를 두 차례나 이겨내며 위기에 강한 DNA를 심었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은 지난해 글로벌 경제를 덮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감염병 대유행) 속에서도 주요 선진국보다 빠르고 강력한 회복세를 보이며 세계의 모범국가로 거듭나고 있다.
단순한 자화자찬이 아니다.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에 2년 연속 초청을 받아 사실상 G8 국가로서의 위상을 인정받고 있으며 유엔무역개발회의(UNCTAD)는 한국을 선진국으로 공식 인정했다.
국제 원조 없이는 생존조차 어려웠던 최빈국에서 ‘잘 사는 나라’를 넘어 ‘글로벌 리더국’으로 나아가고 있는 대한민국의 행보를 따라가봤다.
◆기사 게재 순서
▶1부
(1) 세계가 인정한 ‘선진국’ 대한민국, G7과 어깨 나란히
(2) 위기에 강한 대한민국, 글로벌 모범국 새 역사 쓴다
(3) “국가는 선진국됐는데 국민은 행복하지 않다”
▶2부
(1) K-반도체, 글로벌 종합반도체 1위 비전 빨라진다
(2) K-배터리, 미래차에 ‘심장’ 단다
(3) K-조선, 초격차로 ‘세계 1위’ 지킨다
▶3부
(1) 친환경 힘주는 K-자동차, 미래차시장 정조준
(2) K-바이오, 2025년 ‘세계 5대 백신 강국’ 도약한다
(3) K-게임, 중국에 뺏긴 왕좌 재탈환 나선다
(4) 철강·화학, 수익성 확대 이어 ‘친환경으로 돌파’
(5) 잘 나가는 해운업계, 초대형·친환경 공격 행보로 승부수
(6) 사우디 아람코 프로젝트 재개… 수주 청신호 켜지나
(7) 글로벌 장벽 허문 ‘건강·식품·뷰티’ 청신호
(8) ‘플랫폼 파워’로 차세대 K-패션 주도한다
(9) 코로나 뚫고 쾌속 질주하는 K푸드·뷰티
해운업계가 모처럼 호황을 맞았다. 해운 운임은 올들어서도 가파르게 치솟으며 해운사들의 실적 전망을 밝게 하고 있다. 국내 해운업계는 초대형 컨테이너선 도입과 친환경 선박 개발을 통해 다시 한번 도약을 준비하고 있다.
━
운임도 실적도 신기록 행진
━
프랑스 해운조사기관 알파라이너에 따르면 HMM은 82만6948TEU(1TEU는 20피트짜리 컨테이너 1개)의 선복량으로 세계 해운사 순위 8위에 올라 있다. SM상선은 7만594TEU로 23위를 기록하고 있다.
해운업계는 지난해부터 유례없는 호황을 누리고 있다. 글로벌 선사들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선제적인 공급 조절에 나서자 운송 공급 부족으로 해상 운임이 급등했다. 올들어선 경기 회복에 따른 수요가 더해지며 운임 상승을 더욱 부추기고 있다.
상하이해운거래소에 따르면 지난해 초 1022.72포인트였던 글로벌 해운운임 지표 ‘SCFI’(상하이컨테이너운임지수)는 같은 해 8월부터 상승세를 타기 시작했다.
그해 11월엔 2000포인트를 뚫었다. SCFI는 올 9월 10일 기준 4568.16포인트를 기록했다. 해운업계는 운임 상승세가 내년 1분기까지 지속될 것으로 내다봤다.
국내 해운사들의 실적에도 청신호가 켜졌다. HMM은 5년 연속 적자를 기록하다가 지난해 9800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사상 최대치다. SM상선 역시 창사 이래 최대 영업이익인 1405억원을 거뒀다.
올해도 신기록을 갈아치울 기세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올해 HMM의 영업이익은 전년동기대비 477% 증가한 5조6622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SM상선도 올해 사상 최대 실적을 앞두고 있다. 이 회사는 올 상반기 3075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SM상선은 이 기세에 힘입어 올 하반기 IPO(기업공개)도 앞두고 있다.
━
규모의 경제 벼르는 글로벌 선사들
━
국내 해운업계는 긴장의 끈을 놓지 않고 ‘규모의 경제’ 전쟁에 대비하고 있다. 세계 1위 선사인 머스크(덴마크)는 16만9672TEU 규모의 선박 21척을 주문했다.
세계 2위 선사 MSC(스위스)는 90만1818TEU 규모의 선박 52척을 발주했다. 이 선박을 모두 인도받으면 MSC는 총 503만3502TEU의 선복량으로 1위 선사에 올라선다.
3위 프랑스 CMA CGM은 52만5452TEU(44척)를, 4위 중국 코스코그룹은 58만5272TEU(32척)를, 5위 독일 하팍로이드는 41만5120TEU(22척)를 각각 발주했다. 7위 대만 에버그린은 69만9776TEU(85척)를 계약했다.
최근 조선·해운 호황으로 발주가 잇따르고 있다. 하지만 건조가 완료될 2~3년 후엔 공급과잉으로 운임이 다시 하락할 가능성이 크다. 업황 호황으로 자금이 넉넉해진 해운사들은 몸집을 키워 치킨 게임에 대비하고 있는 것이다.
HMM이 최근 초대형 선박 20척을 도입하자마자 1조8000억원 규모의 1만3000TEU급 컨테이너 선박 12척을 신규 발주한 것도 이 같은 이유에서다. 이 선박들이 2024년 인도되면 HMM의 선복량은 98만2948TEU가 된다.
SM상선은 2488억원을 들여 대한해운 자회사인 대한상선의 컨테이너선 9척을 사들였다. 해운업계 한 관계자는 “배가 클수록 컨테이너 박스를 많이 실을 수 있어 운송·물류비가 절감되고 수익성이 높아진다”고 설명했다.
━
“LNG보다 암모니아” 선박 친환경화 잰걸음
━
해운업계는 친환경 선박에서 초격차를 실현하기 위한 초석도 다지고 있다. 최근 머스크는 한국조선해양으로부터 1만6000TEU급 메탄올 추진선 8척을 발주하며 초대형 친환경 선박 경쟁에 불을 당겼다.
전 세계 해상운송은 연간 10억톤에 달하는 이산화탄소를 배출하고 있다. 이는 전 세계 탄소배출량의 2.5~3% 수준이다. 이에 따라 바다 위 환경규제가 강화되면서 선사들의 발등에 불이 떨어진 상황이다.
IMO(국제해사기구) 해양환경보호위원회는 2024~2026년 배 안의 CII(탄소집약도지수)를 2019년 대비 매년 2%씩 감축한다는 목표를 설정했다. CII는 1톤의 화물을 1해리 운송하는데 배출되는 온실 가스량을 계산한 값이다.
CII 등급제도 도입한다. 이는 선박의 탄소 배출량을 매년 측정해 A부터 E까지 5가지 등급을 매기는 것으로 D등급을 3년 연속 받거나 E등급을 한 번이라도 받으면 연비 개선계획을 제출해야 한다. 연비 개선이 이뤄지지 않으면 시장에서 퇴출당한다.
글로벌 해운사들의 전략은 제각각이다. 머스크는 초격차를 벌릴 수 있는 차세대 친환경 선박 개발을 기다리며 발주 속도를 늦추고 있는 반면 MSC는 LNG(액화천연가스) 추진선이나 황산화물 저감장치(스크러버)가 적용된 선박을 잇따라 발주하고 있다.
HMM은 2030년까지 2008년 이산화탄소 배출량 대비 절반을 감축하고 2050년 탄소배출 중립을 달성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회사는 온실가스종합관리시스템을 구축해 온실가스 배출량을 실시간 모니터링·분석하고 있다.
국내 해운업계 최초로 세운 선박종합상황실에선 연료 소모량, 화물 적재 현상, 입출항 정보 등을 통해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켜 불필요한 탄소배출을 줄이고 있다.
HMM은 단기 용선 선박을 제외한 대부분의 컨테이너선에 스크러버도 적용했다. 스크러버는 배기가스 내 황산화물을 알칼리성인 해수를 이용해 씻어내는 저감 장치다.
스크러버는 초기 설치비용에 1척당 60억원으로 알려졌다. 스크러버 선박은 지난해 전체 선박의 배출량을 2008년 대비 46.7% 감축할 수 있었던 원동력이 됐다.
SM상선은 탄소 저감 방안으로 저유황유를 택했다. 선박에 스크러버를 설치하지 않을 경우 반드시 저유황유를 사용해야 한다. 영국의 조선·해운 시황 분석기관인 클락슨에 따르면 올 8월 로테르담 저유황유 평균 가격은 톤당 524달러로 고유황유보다 33% 높았다. 가격이 높지만 고유황유보다 황산화물 발생량이 적다.
친환경 선박연료로선 암모니아 등을 검토하고 있다. 배재훈 HMM 대표는 지난 5월 ‘2021 P4G(녹색성장 및 글로벌 목표 2030을 위한 연대)’에 참석, “미래 선박 연료로서 암모니아의 가능성에 대해 깊게 검토하고 있다”며 “LNG의 경우 탄소배출을 줄일 수 있는 우수한 연료유 중에 하나지만 궁극적인 해결책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HMM은 그린 암모니아 선박과 바이오중유 상용화를 위해 화학·물류·철강·조선 기업들과 머리를 맞대고 있다. SM상선은 IPO를 통해 확보한 자금을 친환경 선박 개발에 투자할 계획이다.
'2021~2025세상사는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강·식품·뷰티, 수출 활기에 내수 회복.. 코로나 터널의 출구 보인다 (0) | 2021.09.23 |
---|---|
한국, 해외건설 매출 '빅5' 재진입.. "올해보다 내년 전망 좋다" (0) | 2021.09.23 |
지구 점점 뜨거워지자.. 새 부리 커지고, 쥐 꼬리 길어져 (0) | 2021.09.23 |
디지털 뉴딜 2.0 짚어보기.. 급성장한 규모 내실은 '글쎄' (0) | 2021.09.22 |
화학·철강, 수익성 확대 이어 '친환경으로 돌파' (0) | 2021.09.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