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여행/2016 해외여행

​수선사 내에 있는 면암 최익현 순국비 : 2016.05.17

장 불재 2016. 5. 20. 13:56


수선사 내에 있는 최익현 순국비

 

구한말 대 유학자이자 구국 항일투쟁의 상징인

최익현은 쓰시마에 유배되어 순국하였다.

 

장례는 백제의 바구니가 지었다고 전해지는

슈젠지 속에서 치러졌으며 유해는 부산으로 이송되었다.

 

선생의 넋을 기리고자

 1986년 한일 양국의 유지들이 힘을모아

슈젠지에 비를 세웠다.























최익현(崔益鉉)


1905년 을사조약이 체결되자

조약의 무효를 국내외에 선포하고

망국조약에 참여한 외부대신 박제순 등 5적을 처단할 것을 주장했다.


이러한 상소운동이 실패하자

 전국에 걸쳐 반일운동을 일으킬 것을 결심하고

 포고팔도사민을 각지에 보내 우리 민족이 당당한 자주민임을 밝히고,

국권회복에 동참할 것을 호소했다.

18761월 일본과의 통상조약 체결이 추진되자

 도끼를 지니고 궁궐 앞에 엎드려 화의를 배척하는 상소를 올렸다.


 18958월 민비학살사건이 일어나고,

 11월에 단발령(斷髮令)이 내려지자 포천군 내의 양반들을 모아

 국모(國母)의 원수를 갚고 단발령에 반대할 것을 꾀했다.


1906년 수백 명의 유림을 모아 의병을 모집했으나

 곧 잡혀 쓰시마섬으로 유배되었고,

 병을 얻어 순국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