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9 – 48 부석사순례길 외 2 (경북 영주시)
♣ 화엄종 본산 부석사 무량수전 배흘림기둥을 찾아서!
☞ 때 : 10. 15 (화) (흐렸다 맑았다가 반복된 날)
☞ 흔 적 : 부석사 →영주선비촌 →소수박물관 →영주풍기인삼축제장
☞ 시 간 : 11:21 ~ 15:30 (04시간 09분, 본인기준)
※ 선비촌-소수박물관-풍기인삼축제관람시간 포함
☞ 거 리 약 5.4km
☞ 참 석 : 뉴전북산우회
〓 〓 〓 〓 〓 〓 〓 〓 〓 〓 〓 〓 〓 〓 〓
당초 계획은
부석사를 품고 있는 봉황산과
희망회원에 한하여
백두대간인 갈곳산 까지 왕복 산행을 한 후
부석사를
1시간 정도 관람 할 계획였으나
부석사 주차장 입구에서
국립공단직원으로부터
비법정탐방로라는 만류에
안내산악회에서 산행은 취소하고
부석사 관람 후
인근 축제장 관람으로 계획을 변경한다.
비법정탐방로 여부도 확인하지 않고
4시간여를 버스로 이동한 안내산악회의
한심한 운영에 울화가 치민다.
문제는
부석사 관람시간이 충분해야 하는데
안내산악회에서 주어진 시간은
고작 1시간 이어서
발바닥이 개발바닥이 되도록
정신없이 뛰어 다니면서 대충 사진만 담고
오매불망하던
무량수전등 부석사 건축물은
자세히 살펴보거나
제대로 만져 보지도 못하고
또 다시 다시 찾아야 할 숙제로 남는다.
우~~~쒸~~~
〓 〓 〓 〓 〓 〓 〓 〓 〓 〓 〓 〓 〓 〓 〓
부석사(浮石寺)
한국 화엄종(華嚴宗)의 근본도량(根本道場)이다.
676년(신라 문무왕 16)
의상이 왕명을 받들어 창건하고,
화엄의 대교를 펴던 곳으로,
창건에 얽힌 의상과 선묘 아가씨의
애틋한 사랑의 설화는 유명하다.
1016년(고려 현종 7)에 원융국사가
무량수전(無量壽殿)을 중창하였고
1376년(우왕 2)에 원응국사가 다시 중수하고,
이듬해 조사당(祖師堂)을 재건하였다.
그후 여러 차례 중수와 개연을 거쳐
1916년에는 무량수전을 해체 수리하였다.
경내에는
무량수전(국보 18)·조사당(국보 19)·소조여래좌상(국보 45)·
조사당벽화(국보 46)·무량수전 앞 석등(국보 17) 등의 국보와
3층석탑·석조여래좌상·당간지주 등의 보물,
원융국사비·불사리탑 등의 지방문화재를 비롯하여
삼성각·취현암·범종루·안양문·응향각 등 많은 문화재가 있으며
또 신라 때부터 쌓은것으로 믿어지는 대석단이 있다.
의상은 제자가 3,000명이나 있었다고 하며
그 중에서 10대덕(十大德)이라 불리는
오진·지통·표훈·진정·진장·도융·양원·상원·능인·의적 등은
모두 화엄을 현양시킨 승려들이었다.
이 밖에도 《송고승전》에 그 이름이 보이는
범체나 도신 및 신림 등도 의상의 훌륭한 제자였으며
의상이후의 부석사와 관계된 고승으로는
혜철국사·무염국사·징효대사
·원융국사·원응국사 등이 그 법통을 이었다.
'2019 山 - 길'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9 – 48 부석사순례길 외 03 (0) | 2019.10.16 |
---|---|
2019 – 48 부석사순례길 외 02 (0) | 2019.10.16 |
2019 - 47 대부해솔길1코스 05 (0) | 2019.10.11 |
2019 - 47 대부해솔길1코스 04 (0) | 2019.10.11 |
2019 - 47 대부해솔길1코스 03 (0) | 2019.10.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