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09 - 97 갑장산 806m(경북 상주시)
♣ 갑장산에 숨어있는 거북바위를 찾아서...
☞ 때 : 12. 01(화) (맑았으나 연무 낀 날)
☞ 흔 적 : 용흥사주차장→연악산식당→ 상산 →문필봉 →상사바위 →갑장사
→정상 →나옹바위 →시루봉 →남석문 →용흥사 →주차장
☞ 거 리 : 약 8.0km
☞ 시 간 : 11:13-14:47(03시간34분, 점심과 휴식포함) ☞ 누구랑 : 전주모악산우회
갑장산(甲長山)
갑장산은
아름다움이 으뜸이요(甲),
사장(四長)을 이룬다는 뜻에서
그 이름이 비롯된 산이다.
고려 충렬왕이
승장사에서 잠시 쉬었다 가며
‘영남의 으뜸 산’이라 하여
갑장이라 명명했다는 설도 전한다.
상산 삼악의 하나인
연악(淵岳)이라고도 한다.
연악이란
이름은 구룡연에서 유래되었다.
구룡연은
갑장사 뒤 사거리에서
웃승장 방향으로
50미터 정도 내려가면 우측에 있는데,
천제와 기우제를 지내던
신성스런 연못이다.
구룡연에서 북쪽으로
문필봉이 우뚝 솟아 있는데,
바위 3개가 붓처럼 뭉쳐져 있다.
이 문필봉의 정기를 받아
갑장산 주변에 장원급제한
인물들이 많이 나왔다고 하여
장원향이라는 이름을 남기기도 하였다.
용포 쪽에는 백운 이규보가
1196년 요양하며 시를 남긴 용담사터가 있고,
승장계곡에는 옥류정과 승장폭포,
그리고
상주 사장사, 갑장사, 승장사, 북장사,
남장사 중 하나였던 승장사터가 있다.
갑장산 정상 부근에는
고려 공민왕 22년(1373) 나옹선사가 창건한
갑장사가 자리 잡고 있다.
갑장사(甲長寺)
갑장사는
상주시 지천동 산5번지에 자리잡은
조계종 산하의 전통사찰로
상주 4장사(남장사, 북장사, 갑장사, 승장사 - 현재는 없음) 중의 하나이다.
이 사찰은 명승지로 알려진 갑장산 정상에 자리하여
항상 연악(淵嶽)의 사계절을 독점하고 있다.
사찰의 개기(開基)는 1373년(공민왕 22) 나옹화상이 창건하였으며,
경내에는 지방 문화재 자료 제125호인 삼층 석탑을 비롯하여
주위로는 상사바위. 구룡연. 문필봉. 백길바위 등의
전설에 얽힌 명승들이 있다.
![]() |
상주 갑장산 거북바위
(상주=연합뉴스) 경북 상주의 명물로 자리 잡고 있는 갑장산 거북바위. 상주시 낙동면 갑장산 정상에서 동쪽으로 형성된 절벽이 시작되는 곳에 있는 거북바위는 거북이 등과 머리, 발 모양과 흡사하고 동쪽을 향해 머리를 내민 형태를 띠고 있다. 2009.11.30 << 지방기사 참고 , 상주시 제공 >>
|
용흥사(龍興寺)
용흥사(龍興寺)는 갑장산 서편 중턱에 자리잡은
조계종 산하의 전통사찰이다.
신라 문성왕 원년(839년) 진감국사가 창건하였다고 전한다.
그러나, 1968년 극락보전을 해체 보수할 때 발견된 기문에 의하면,
고려 말 나옹화상이 창건한 후
1647년(인조 25)법심 인화스님이 중창하고
1680년(숙종 6)에 사유, 홍치두 스님이 두 번째 중수하였으며,
1707년(숙종 33)에 사준, 도인 두 스님이 三중수,
1806년(순조 6)에 四중수,
그 후 161년만에 다섯 번 중수했음을 알 수 있으나
이 기록은 극락보전에 관한 내력이다.
경내에는 극락보전, 나한전, 삼성각, 승방, 백운선원 등의
전각이 배치되었고,
경내에 선 5층 석탑은 1976년 6월 30일,
극락보전에 봉안된 탱화에서 발견된 사리를
이 탑에 봉안하여 세운 것이다.
또 봉안하고 있는 괘불은 1684년(숙종 10년)에 제작된 것으로
크기가 가로 656cm X 세로995cm로
석가모니불을 중심으로 오른쪽에 아미타불,
왼쪽에는 약사불을 둔 삼존불의 형식을 취하고 있다.
용흥사는 상주시내에서 가까운 거리에 있으면서도
교통이 편리하고 사누가 빼어난 갑장산에 자리잡아
사계절 유상객이 끊이지 않는 사찰이기도 하다.
'2009 산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09 - 99 백아산 (0) | 2009.12.09 |
---|---|
2009 - 98 금 산 (0) | 2009.12.07 |
2009 - 96 화왕산 (0) | 2009.11.29 |
2009 - 95 국사봉 (0) | 2009.11.29 |
2009 - 94 팔공산2 (0) | 2009.1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