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세상사는이야기/2020 세상사는이야기

당신의 손 씻기는 '틀렸다'?

장 불재 2020. 2. 3. 11:34



감기, 인플루엔자(독감), 콜레라,

세균성 이질, 장티푸스, A형 간염, 유행성 눈병 등


 대부분의 감염병 예방을 위한

첫걸음으로 전문가들은 ‘손 씻기’를 꼽는다.


흐르는 물에

 비누로 30초간 손을 씻는 것으로

 많은 감염성 질환을 예방할 수 있기 때문에


미국 질병예방통제센터(CDC)에선

손 씻기를 ‘셀프 백신’이라 표현한다.


손은

감염성 질환을 유발하는 세균과 바이러스를


 눈, 코, 입 등으로 옮겨심는 ‘메신저’ 역할을 하므로

 ‘깨끗한 손’을 유지하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


미국 국립보건원 실험 결과에 따르면

성인이 한 시간에 얼굴을 만지는 평균 횟수는

 약 3.3~3.6회로 나타났다.


이를 기준으로 보면

 수면시간을 제외하고 하루에

 50회 이상 감염 위험에 노출되고 있다.


비누로 손 씻기          


게다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경우

 엘리베이터 버튼, 에스컬레이터 손잡이, 화장실 등


 공용시설 문손잡이,

지하철이나 버스 손잡이, 은행 ATM 키패드 등


여러 사람의 손을 거치는 과정을 통해

 무려 여섯 명에까지 연속 전파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까지 소개된 바 있다.


하지만 손 씻기를 했다고 해서

 안심하긴 이르다.


 대부분의 사람이

 손을 ‘제대로’ 씻지 않기 때문이다.


사실 손 씻기는 정확히 말하면

 ‘손끝씻기’라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손 부위 중에서도 손톱,

 지문이 있는 손끝 부위를 닦는 것이 중요하다.


눈, 코, 입이 직접적으로 닿는 부위는

 손바닥보다는 손끝이 더 잦은데,


일반적으로 손 씻기를 할 때

잘 씻기지 않는 부위가 바로 손끝이기 때문이다.


                                                                        잘 씻기지 않는 손 부위


자료(An Evaluation of Hand washing Techniques, Nursing Times)에 따르면

손바닥 부분은 대부분 씻기지만


 비교적 씻기지 않거나 거의 씻기지 않는 부위가

 손끝과 손가락 사이, 엄지손가락, 손등

 일부인 것으로 나타났다.


 어떻게 보면

가장 잘 닦여야 하는 부위가

 ‘손 씻기의 사각지대’였던 것이다.


이들 부위까지 놓치지 않고

 제대로 씻으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일반적으로

 손 씻는 습관에서 한 발짝 더 나아가


 손을 맞물려 손가락 사이를 닦아 주는 것과

 양쪽 손의 손가락을 마주 잡고 문질러주기,


양쪽 엄지손가락 닦아주기,

 반대편 손바닥에 손톱 밑을

 잘 문질러 씻기를 추가해야 한다.


       

 특히 코를 풀거나

기침, 재채기 후, 화장실 이용 후,


 음식을 먹기 전후, 음식을 준비할 때,

기저귀를 갈고 난 후, 병간호할 때,


 쓰레기를 취급한 후,

 베인 상처나 창상을 다룰 때,

 동물 관련 폐기물 등을 다룬 후,


애완동물을 접촉하거나 먹이를 준 후에

 꼼꼼한 손 씻기가 필요하다.


 하이닥